AI 검토 도구

AI를 활용하여 품질 저하 없이 검토 속도 향상 실현

미국 민사소송에서는 심리 전에 피고와 원고가 서로 증거를 공개하고 쟁점을 정리하기 위해 증거가 될 수 있는 전자 데이터나 서류를 적절한 절차에 따라 기한 내에 제출해야 합니다. 특히 전자 데이터를 다루는 작업은 e디스커버리(e-discovery)라고 하는데, 일본 기업이라도 미국에서 비즈니스를 전개하고 있다면 일본 본사나 데이터센터 등에 있는 모든 전자 데이터가 증거로 공개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일단 소송에 휘말리게 되면 소송상 불리한 상황을 만들지 않기 위해서라도 방대한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고 적절하게 선별해야 합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한 수사기관의 의견과 요청, 그리고 프론테오의 풍부한 포렌식 조사 경험에서 축적된 지식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자체 개발한 AI 탑재 툴이 바로 'KIBIT Automator'다. AI 엔진 'KIBIT(키빗)'을 중심으로 에 자체 개발한 기능이 효율적이고 포괄적인 증거 탐색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 e디스커버리라는 작업 중 가장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것은 문서 검토 과정으로, 전체 디스커버리 비용의 약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검토 과정을 어떻게 효율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느냐가 기업들에게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discovery_service_01-2.png

기존에는 고객사나 법무법인에서 문서 검토에 대해 비용, 기간, 볼륨, 검토자의 검토 속도와 기술력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해왔습니다. 또한, 기존에는 인당 월 단위의 요금 모델이었기 때문에 고객사에 따라서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난이도가 높은 검토에 대해서는 품질을 양보할 수밖에 없는 경우도 있었다. 'KIBIT Automator'는 아래와 같은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검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검토자의 숙련도나 장시간 작업으로 인한 피로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품질의 문서 검토를 실현하여 품질을 희생하지 않고도 검토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제품 특징

시간당 확인 가능한 문서 수를 평균 40건에서 100건으로 늘렸다.

일반적으로 문서 검토는 변호사나 변호사의 지시를 받아 일하는 사람들이 담당하고, 문서를 일일이 확인하여 '관련성 있음(relevant)', '관련성 없음(not relevant)'으로 구분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KIBIT Automator'는 AI에게 '관련성 있는 문서'와 '관련성 없는 문서'의 대비를 학습시켜 사람보다 빠르고 안정적인 품질로 '관련성 유무'를 판단하여 문서 검토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문서 검토에 KIBIT Automator를 활용하면
사람의 눈으로 검토해야 하는 문서를 약 40%로 줄일 수 있습니다.

검토 대상 전자 데이터를 키워드 검색으로 1%~5%까지 줄이고, KIBIT Automator로 '사람의 눈으로 검토해야 하는 문서'(약 40%)와 '사람의 눈으로 검토하지 않아도 되는(AI만으로 검토하는) 문서'(약 60%)로 분류. 검토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습니다. (당사 실적 평균)

주요 기능

Assisted Learning: '읽지 않아도 되는 문서'를 판단하기 위한 컷오프 지원 기능을 이용하여
사람이 읽어야 하는 문서를 대폭 줄임

일반적으로 문서 검토는 변호사나 변호사의 지시를 받아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담당하고, 문서 하나하나를 일일이 확인하여 '관련성 있는(relevant)' Assisted Learning 기능을 통해 조사대상으로 수집한 문서 중 몇 %까지 검토하면 일정 비율의 '관련성 있는' 문서를 찾을 수 있는지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찾을 수 있는지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안건 담당 변호사나 기업 담당자가 조사 대상으로 수집한 문서 중 '읽지 않아도 되는 문서'를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거나 읽어야 할 문서를 우선적으로 조사할 수 있어 조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01_KAM_Evaluation_Screenshot.png

Highlight Sentence: 확인이 필요한 부분을 하이라이트 표시

리뷰어에게 작업이 전달되는 시점에 AI가 특별히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부분이 강조 표시된 상태로 전달되기 때문에, 리뷰어가 실제로 읽어야 하는 문장의 양을 줄일 수 있습니다.

  • HOME      >      
  • 제품 목록      >      
  • AI 검토 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