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사 대상자 수 명의 이메일, 약 4,000건의 채팅을 보존하고 디지털 포렌식을 진행. 또한, 보존-복원된 데이터 중 검토 효율화를 위해 KIBIT의 정렬 등까지 당사가 수행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KIBIT은 포괄성을 확보한 후 검토 대상을 정확히 세분화하여 시간적 비용의 적정화에 기여했다.
대상은 약 870,000건이었으나, 검색, 중복제거, 이메일 스레딩 처리, KIBIT에 의한 점수순 정렬을 통해 위원회가 실제 검토할 수 있는 건수는 약 14,000건까지 좁혀질 수 있었다.
위원회는 기간 등을 통해 좁혀진 약 13,000여 건을 우선 검토하여 중요/관련성 있는 문서들을 찾아냈다. 그 다음, 그 중요/관련성 있는 문서를 교사 데이터로 삼아 전체 대상에 대해 KIBIT 점수순으로 정렬하고, 높은 점수를 받은 약 1,000여 건에 대해 추가 검토를 진행했다. 그 결과, 대상 약 870,000건 대비 실제 리뷰는 약 14,000건으로 효율적인 검토가 이루어졌다.